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정보처리기사
- 논리회로
- 정처기
- 2017년 컴퓨터일반
- 탑스팟 컴퓨터일반
- 정처기 필기
- 2019년 계리직 컴퓨터일반
- 컴퓨터일반
- 2019년 계리직
- 전산직
- 지방직
- 디코더
- 계리직
- 인코더
- 멀티플렉서
- 서울시
- 2018년
- 카르노맵
- 컴퓨터
- 탑스팟
- 2017년
- 9급
- 공단기 컴퓨터일반
- 공단기
- 2019년
- 2019년 컴퓨터일반
- 정보처리기사 필기
- 국가직
- It
- 컴일
- Today
- Total
Don't Look Back In Anger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3. 217번 본문
2019년 국회직 컴퓨터일반 8번
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?
① 지도 학습(supervised learning)은 입력과 출력 사이의 매핑을 학습하는 것이며, 입력과 출력 쌍이 데이터로 주어지는 경우에 적용한다.
② 지도 학습 종류에는 예측변수의 특성을 사용해 목표 수치를 예측하는 회귀(regression) 기법도 있다.
③ 강화 학습(reinforcement learning)은 주어진 입력에 대한 일련의 행동 결과에 대해 보상(reward)이 주어지게 되며, 시스템은 이러한 보상을 이용해 학습을 행한다.
④ 비지도 학습(unsupervised learning)은 입력만 있고 출력은 없는 경우에 적용하며, 입력 사이의 규칙성 등을 찾아내는 게 목표이다.
⑤ 어떤 종류의 값을 군집(clustering)하고 이를 분류(classification)하는 기법은 비지도 학습의 한 종류이다.
정답 : ⑤
⑤ 군집은 비지도 학습이지만, 분류는 지도 학습이다. 여기서 군집화란 주어진 데이터들의 특성을 고려해 데이터 집단(클러스터)을 정의하고 데이터 집단의 대표할 수 있는 대표점을 찾는 것으로 데이터 마이닝의 한 방법이다. 예를 들면, 자율주행차가 주행 도로의 색을 군집화하여 인식하는 것을 들 수 있다. 분류란 지도 학습 중에 예측하는 결과값이 이산값이면 분류 문제에 해당한다. 예를 들어, 현재 주민등록증 이미지 상에 보이는 글자는 1인가 2인가? 등이다.
① 지도 학습 : 훈련 데이터(Training Data)로부터 하나의 함수를 유추해내기 위한 기계 학습(Machine Learning)의 한 방법이다. 훈련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입력 객체에 대한 속성을 벡터 형태로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벡터에 대해 원하는 결과가 무엇인지 표시되어 있다.
② 회귀 기법 : 지도 학습 중 예측하는 결과값이 연속값이면 회귀 문제에 해당한다. 예를 들어, 3개월 뒤에 금값은 얼마가 될 것인가? 등이다.
③ 강화 학습 : 어떤 환경 안에서 정의된 에이전트가 현재의 상태를 인식하여, 선택 가능한 행동들 중 보상을 최대화하는 행동 혹은 행동 순서를 선택하는 방법이다. 강화 학습은 또한 입출력 쌍으로 이루어진 훈련 집합이 제시되지 않으며,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도 명시적으로 정정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지도 학습과 다르다.
④ 비지도 학습 : 자율 학습은 기계 학습의 일종으로, 데이터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알아내는 문제의 범주에 속한다. 이 방법은 지도 학습(Supervised Learning) 혹은 강화 학습(Reinforcement Learning)과는 달리 입력값에 대한 목표치가 주어지지 않는다.
* 머신러닝은 학습 방법에 따라 지도학습, 비지도학습, 강화학습으로 나눌 수 있다.
* 지도 학습 (Supervised learning) : 입력과 출력 사이의 매핑을 학습하는 것이며, 입력과 출력 쌍이 데이터로 주어지는 경우에 적용
- 종류 : 분류(classification), 회귀(regression)
- 학습 데이터 : {입력, 정답}
* 비지도 학습 (Unsupervised learning) : 입력만 있고 출력은 없는 경우에 적용하며, 입력 사이의 규칙성 등을 찾아내는 게 목표
- 종류 : 군집(clustering)
- 학습 데이터 : {입력}
* 강화 학습 (Reinforcement learning) : 기계 하습이 다루는 문제의 하나로, 어떤 환경 안에서 정의된 에이전트가 현재의 상태를 인식하여, 선택 가능한 행동들 중 보상을 최대화하는 행동 혹은 행동 순서를 선택하는 방법
- 학습 데이터 : {입력, 출력, 출력에 대한 점수}
[AI] 지도학습, 비지도학습, 강화학습(RL) 개념과 차이점
인공지능의 기계학습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. 1. 지도학습(Supervised Learning) - 분류 , 회귀 2. 비지도학습(Unsupervised Learning) - 군집화, 차원축소 3. 강화학습(Reinforcement Learning) - 게임산업,..
bangu4.tistory.com
'IT > 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2. 04번 (0) | 2022.03.01 |
---|---|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3. 221번 (0) | 2022.02.28 |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1. 303번 (0) | 2022.02.22 |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1. 286번 (0) | 2022.02.22 |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1. 252번 (0) | 2022.02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