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on't Look Back In Anger
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01. 165번 본문

IT/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
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01. 165번

버로나 2022. 2. 18. 17:17

2011 지방직 컴퓨터일반 18번

 

컴퓨터시스템의  명령어  형식이  다음과  같고,  OPERAND  필드(field)가  256M  워드  크기의  메모리  주소를  나타낼  때  OPCODE  필드로  나타낼  수  있는  서로  다른  종류의  명령어가  모두  몇  개인가?  (단,  OPERAND는  워드  단위의  주소값을  가지고,  1워드는  32비트이며,  각  명령어  크기는  1워드이다.)

① 16

② 64

③ 256

④ 512

 

정답 : ①


OPERAND 필드(field)가 256M 워드 크기의 메모리 주소를 나타내므로 오퍼랜드 필드의 크기는 256M개의 워드를 구분할 수 있도록 28비트여야 한다. (256은 2^8이고 M는 2^20이므로 256M는 2^28이다.)

32비트 명령 레지스터에서 오퍼랜드의 크기가 28비트이므로 OP-code의 크기는 4비트가 된다.

명령 코드를 표현하는 OP-code의 크기가 4비트이므로 이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는 최대 2⁴개, 즉 16개가 된다.

 

256M의  주기억장치이므로  OPERAND에서  필요한  크기는  28비트이다.

32비트-28비트로  OPCODE에서  사용하는  크기는  4비트이며  명령어의  개수는  16개이다.

 

메가면 킬로 메가니까 1024를 두번 곱해야 하는데 한번만 곱하셨네요.

256M이니까 256*1024*1024 = 2 ** 28
32-28 = 4
2 ** 4 = 16

operand가 28비트고 남는게 4비트니까 16개 맞습니다
워드단위의 주소값을 가진다는건 주소 하나가 가르키는 크기가 워드라는 겁니다.
주소 자체의 크기가 워드라는게 아니고.

 

https://kldp.org/node/124198

 

컴퓨터일반 기출문제 질문 | KLDP

글쓴이: 익명 사용자 / 작성시간: 일, 2011/07/03 - 1:50오전 컴퓨터시스템의 명령어 형식이 다음과 같고, OPERAND 필드(field)가 256M 워드 크기의 메모리 주소를 나타낼 때 OPCODE 필드로 나타낼 수 있는 서

kldp.org