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- 계리직
- 2017년
- 국가직
- 정처기
- 인코더
- 2019년
- 디코더
- 멀티플렉서
- 컴일
- 탑스팟 컴퓨터일반
- 2017년 컴퓨터일반
- 탑스팟
- 2018년
- 공단기 컴퓨터일반
- 카르노맵
- 컴퓨터
- 정보처리기사 필기
- 전산직
- 정처기 필기
- 2019년 계리직 컴퓨터일반
- 컴퓨터일반
- 서울시
- 논리회로
- 지방직
- 2019년 계리직
- 공단기
- 9급
- It
- 정보처리기사
- 2019년 컴퓨터일반
- Today
- Total
Don't Look Back In Anger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01. 179번 본문
2016년 지방직 9급 컴퓨터일반 13번
범용 컴퓨터의 시스템 버스(system bus)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?
① 주소 버스 (address bus)
② 데이터 버스 (data bus)
③ 제어 버스 (control bus)
④ 명령어 버스 (instruction bus)
정답 : ④
* 시스템 버스
- 중앙처리장치와 시스템 내의 다른 요소들 사이에 정보를 교환하는 통로
- 데이터 버스, 주소 버스, 제어 버스로 구성
(1) 데이터 버스
-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들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선들의 집합
- 시스템 모듈들 간의 데이터 이동 경로를 제공
- 양방향 전송이 가능
- 주로 32, 64, 128 또는 그 이상의 분리된 선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선의 수는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비트 수를 결정지어 주는데 이것은 CPU가 수용할 수 있는 데이터의 크기, Word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
(2) 주소 버스
- 데이터의 쓰기 동작 또는 읽기 동작을 할 때, 해당하는 주기억장치 장소를 지정하는 주소를 전송하기 위한 선들의 집합
- 데이터의 근원지나 목적지의 일정한 메모리 주소를 전달하는 버스
- 단방향 전송을 수행
- 주소 버스의 폭은 최대 기억장치의 용량을 결정지어 주는데 32개의 주소 버스를 지닌 컴퓨터 시스템은 2^32개의 메모리 위치를 할당할 수 있다
- I/O 포트를 지정하기 위해서도 사용되어진다
(3) 제어 버스
- 중앙처리장치와 주기억장치 및 입출력 장치 사이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선들의 집합
- 데이터 버스와 주소 버스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
- 데이터 버스와 주소 버스는 공유하는 선들의 집합이므로 이들을 제어하는 수단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
'IT > 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01. 191번 (0) | 2022.02.20 |
---|---|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01. 187번 (0) | 2022.02.19 |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01. 129번 (0) | 2022.02.19 |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1. 130번 (0) | 2022.02.19 |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1. 128번 (0) | 2022.02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