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on't Look Back In Anger

탑스팟 달달노트 데이터통신 08. 데이터 전송 본문

IT/탑스팟 달달노트 (컴퓨터일반)

탑스팟 달달노트 데이터통신 08. 데이터 전송

버로나 2023. 10. 1. 11:21

<데이터 전송방식>

  • 비동기식 전송 (Asynchronous Transmission)
  • 한 문자 단위(5~8bit)로 전송하는 방식
  • Start-Stop 방식
  • 각 문자 사이에 휴지시간(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지만 생산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시간) 있음

 

  • 동기식 전송 (Synchronous Transmission)
  • 여러 문자를 블록 단위로 전송하는 방식
  • 많은 양을 전송하기에 버퍼 장치가 필요

 

2010_9급_국가직_컴퓨터일반(고)_2010년 04월 10일

문제 4.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전송에 있어서 스트로브(strobe) 제어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① 스트로브는 송신 장치나 수신 장치에 의하여 발생된다.

② 스트로브는 유용한 데이터가 버스(bus)에 있음을 수신 장치 에 알린다.

③ 비동기 방식으로 각 전송 시간을 맞추기 위해 단 하나의 제 어라인을 갖는다.

④ 송신장치는 버스(bus)에 놓인 데이터를 수신 장치가 받아들 였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.

 

 


 

정답 : ④

 

ㆍ비동기식 데이터 전송 제어 방식에는 핸드셰이킹(Handshaking) 방식과 스트로브 펄스(Strobe Pulse) 방식이 있습니다.

 

ㆍ스트로브 펄스(Strobe Pulse) 방식은 두 개의 장치가 비동기적일 경우에 데이터 전송을 알리는 신호(스트로브 신호)를 보내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을 알려주는 방식입니다. 이 방식은 데이터 버스와 1개의 제어선을 이용하는데, 이 제어선을 통해 송신측에서 수신측으로 스트로브 신호를 보내거나 수신측에서 송신측으로 스트로브 신호를 보낼 수 있지만, 전송을 시작한 송신장치가 버 스에 놓인 데이터를 수신 장치가 받아들여졌는지 여부를 알 수 없습니다.

 

ㆍ핸드셰이킹(Handshaking) 방식은 데이터 버스와 2개의 제어선 (송신 신호, 수신 신호)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송을 시작한 송신 장치가 버스에 놓인 데이터를 수신 장치가 받아들여졌는지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