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on't Look Back In Anger

탑스팟 컴퓨터일반 17.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본문

IT/탑스팟 컴퓨터일반

탑스팟 컴퓨터일반 17. 마이크로 오퍼레이션

버로나 2022. 2. 19. 19:50

<마이크로 오퍼레이션>

- 하나의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 컴퓨터가 실행하는 아주 작은 단위의 명령어

- 프로그램에 의한 명령의 수행은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수행으로 이루어지는데,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은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CPU 내의 레지스터와 플래그의 상태 변환을 일으키는 동작이다.

-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동작이다.

- 기억장치로부터 명령어를 인출하여 해독하고, 해독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각 단계의 세부 동작이다.

- 하나의 클록 펄스(Clock Pulse)에 기준을 두고 실행된다.

-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이 순서적으로 일어나게 하려면 제어 신호가 필요하다.

 

* 클록 펄스 = 제어 신호

 

<마이크로 사이클 타임(Micro Cycle Time)>

- 한 개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시간

- CPU의 속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이용된다

- CPU Clock Time 또는 CPU Cycle Time이라고도 한다

 

(1) 동기 고정식(Synchronous Fixed)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

-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 중에서 수행 시간이 가장 긴 것을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으로 정의하는 방식

- 모든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수행 시간이 유사한 경우 유리한 방식

- 여러 종류의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수행 시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이 실제적인 오퍼레이션 시간보다 길다

- 제어장치의 구현이 간단하지만, CPU의 시간 낭비가 심하다

 

(2) 동기 가변식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

- 각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에 따라서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다르게 정의하는 방식

- 각 마이크로 오퍼레이션의 사이클 타임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낼 경우 유리

- 수행 시간이 유사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끼리 모아 집합을 이루고 각 집합에 대해서 서로 다른 마이크로 사이클 타임을 정한다

- 제어장치의 구현이 비교적 복잡하지만, CPU의 시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

 

https://youtu.be/oXPE9DYTfgU