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정보처리기사 필기
- 계리직
- 멀티플렉서
- 지방직
- 9급
- 디코더
- 2019년 계리직
- 2017년
- 정처기
- 전산직
- 서울시
- 탑스팟 컴퓨터일반
- 카르노맵
- 정보처리기사
- 정처기 필기
- 2019년
- 컴퓨터
- 2019년 계리직 컴퓨터일반
- 공단기 컴퓨터일반
- 2018년
- 2017년 컴퓨터일반
- 인코더
- 2019년 컴퓨터일반
- 공단기
- 국가직
- It
- 컴퓨터일반
- 탑스팟
- 논리회로
- 컴일
- Today
- Total
Don't Look Back In Anger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2. 79번 본문
2018년 교육청 9급 컴퓨터일반 17번
다음 그림은 컴퓨터에서의 교착상태를 기찻길에서 발생 할 수 있는 상황에 비유하여 나타낸 것이다. 이러한 교착 상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기차 A, B가 모두 ㉠ 선로에 진입한 경우 은행원 알고리즘을 적용한다.
② ㉠ 선로를 우선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권한을 항상 A의 진행 방향으로 운행하는 기차에만 부여한다.
③ 모든 기차는 ㉠ 선로에 진입하기 전에 다른 방향에 서 진입하는 기차가 없는 것을 기차 중앙 통제소를 통해 확인하고 진입한다.
④ ㉠ 선로 상에서 교착상태가 일어난 경우 기차 중앙 통제소는 기차 A, B 중 하나를 후진시켜 ㉠ 선로에 진입하기 이전으로 되돌린다.
정답 : ①
① 은행원 알고리즘은 대표적인 교착상태 회피 알고리즘으로, 교착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다. 기차 A, B가 모두 선로에 진입한 것은 이미 교착상태가 발생한 상황으로 이 때는 교착상태 탐지 및 회복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.
* 은행원 알고리즘(Bank`s Algorithm) 교착상태 회피 알고리즘으로, 프로세스가 자원을 요구할 때 자원을 할당한 후에도 안정 상태로 남아있게 되는지를 사전에 검사하여 교착 상태 발생 가능성을 회피하는 기법이다. 검사 결과 안정 상태라고 판단되면 자원을 할당하고, 그렇지 않으면 다른 프로세스들이 자원을 해지할 때까지 대기한다.
② 항상 A 방향의 기차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은, 자원에 순서 번호를 할당해 순서대로 자원을 요구하도록 하는 환형 대기 조건 부정에 해당한다.
③ 선로에 진입하기 전에 미리 확인 작업을 거치는 것은 교착 상태 회피에 해당한다.
④ 이미 점유하고 있는 선로를 되돌리는 것은 자원을 다른 프로세스에게 선점 당해 빼앗기는 것에 해당하므로, 비선점 조건 부정에 해당한다.
'IT > 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2. 94번 (0) | 2022.03.03 |
---|---|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2. 78번 (0) | 2022.03.03 |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2. 04번 (0) | 2022.03.01 |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3. 221번 (0) | 2022.02.28 |
공단기 컴퓨터일반 기출문제집 PART 03. 217번 (0) | 2022.02.28 |